-
청산차트가 뭔지 알아보겠습니다/이런 책을 읽었습니다 2021. 8. 24. 10:40
의사에게 오늘 돈을 얼마나 벌었는지 물어보라 대답을 하지 못할 것 이다.
만약 대답을 하는 의사가 있다면 다시는 그 사람에게 진찰을 받으러 가지 않는 게 좋을 것 같다.
일하는 도중에 돈이나 세고 있다면 그 사람을 다시 찾고 싶지 않을 것이다.
진정한 프로는 돈을 세는 대신 자신의 능력을 갈고 닦아 최상으로 끌어올리는 데 모든 열정을 쏟는다
트레이딩 도중에 돈을 센다는 것은 적신호이다
즉 감정이 개입되어 이성을 압도하기 때문에 실패하리라는 것을 경고하는 것이다.
트레이딩의 품격을 높이는데 집중하라. 합리적인 매매기회를 찾고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자금관리 계획을 보유하라
적절한 진입시점을 찾고 도박을 피하는 데 주력하라 그러면 저절로 돈이 따라올 것이다.
돈은 트레이딩을 마치고 느긋하게 세면 된다.
손실제한 설정
롱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면 손실제한을 그대로 두든지 아니면 올려라. 손실제한을 내리면 안 된다.
숏 포지션을 취하고 잇다면 손실제한을 그대로 두든지 아니면 내려라. 손실제한을 올리면 안 된다.
롱 포지션에 취했다면 가장 최근의 단기 지지 수준 아래에 손실제한 주문을 설정하라.
숏 포지션을 취했다면 가장 최근의 단기 저항 수준 위에 손실제한주문을 설정하라
삼중스크린 매매 시스템을 이용한다면 시장 진입 후 지난 2일 동안의 가격범위 중 극단값에 손실제한주문을 설정하라.
트레이딩이 끝난 후
포지션을 정리했다고 트레이딩이 끝난 건 아니다.
트레이딩을 분석하고 교훈을 얻어야 한다.
방금 정리한 트레이딩에서 다음과 같은 점을 되짚어봐야 한다.
좋은 매매기회를 발견했는가?
어떤 지표들이 유용했고 어떤 지표들은 쓸모없었나?
진입시점은 얼마나 적절했나?
최초 설정한 손실제한이 너무 멀었는가 아니면 너무 가까웠는가?
손실제한을 손익분기 수준으로 너무 빨리 움직였나 아니면 너무 늦게 움직였나?
수익방어적 손실제한이 너무 느슨했는가 아니면 너무 팽팽했는가?
포지션을 정리하라는 신호를 인지했는가? 어떻게 해야 했는가?
트레이딩의 각 단계에서 어떤 심정이었는가?
이렇게 분석해 나가면 감정적인 트레이딩을 교정할 수 있다트레이딩 전과 후를 기록해나가라
포지션으로 진입할 때마다 현재의 차트를 인쇄하라. 차트를 노트 왼쪽 페이지에 붙이고 매수 혹은 공매도한 이유를 적어라
그리고 트레이딩을 관리하기 위한 계획을 적어두라.
포지션을 청산할 때도 차트를 출력해 노트 오른쪽에 붙이라.
포지션을 청산한 이유를 적고 잘한 점과 잘못한 점을 목록으로 나열해두라.
그러면 트레이딩과 생각을 한눈에 알 수 있는 그림이 나온다.
'차트가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 이런 책을 읽었습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도 지수(Elder Force Index) (0) 2021.08.07 엘더 레이 (0) 2021.08.07 미결제약정 (0) 2021.08.07 거래량 지표:OBV,매집/분산지표(Accumulation/Distribution) (0) 2021.08.07 거래량 (0) 2021.07.18